Windows에서 안전모드로 부팅하기
안녕하세요 짱부입니다. 오늘은 Windows 10/11에서 안전 모드로 실행하는 방법을 알아볼게요.
우선 안전모드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안전모드란?
안전모드란 윈도우에서 제공하는 가장 안전한 시작 방법으로, 제한된 파일과 드라이버들만을 사용하는 상태에서 시작하게 되는 방법입니다. 이 안전 모드에서 에러가 발생하지 않으면 기본적인 설정이나 장치 드라이버에 문제가 없다는 것을 말합니다.
대부분 문제가 생기면 Windows에서는 자동으로 안전모드로 실행하지만, 이 포스팅에서는 Windows 10에서 수동으로 안전모드를 시작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안전모드를 실행하는데에는 세 가지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목차
- 시작할 때 F8키를 눌러주기
- msconfig를 이용한 안전모드 실행
- 스크린 모드에서 안전 모드로 넘어가기
1. 시작할 때 F8키를 눌러 안전모드를 실행하는 방법입니다.
Windows 7에서는 booting시에 F8키가 Default로 enable 되어 있어 지만, Windows 10에서는 이 button을 수동으로 enable 시켜줘야 합니다.
그럼 먼저 F8 Key를 활성화 시켜 보겠습니다.
1) Windows 시작 메뉴에서 cmd를 쳐주세요. 그리고 아래 캡처에서 처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시켜 주세요.
2) cmd 창이 뜨면, bcdedit /set {default} bootmenupolicy legacy를 typing 해주세요.
그러면 작업이 완료되었다는 메시지를 출력합니다.
3) 이제 F8키의 활성화가 끝났습니다. 이제 컴퓨터를 꺼서 다시 재부팅해 주세요.
4) 초기 검정색 화면에서부터 계속 F8키를 누르다 보면 여러 가지 메뉴가 나오는데 여기서 SAFE MODE를 찾아 실행시켜 주세요.
2. msconfig를 이용한 방법입니다.
1) Windows 시작 메뉴에서 msconfig를 열어주세요.
2) msconfig 창에서 부팅탭으로 이동해주세요.
3) 안전 부팅 체크란에 체크 해 주세요.
4) 이제 확인을 누르고 모든 설정을 마칩니다.
5) 이제 다시 시작 버튼을 눌러주면 안전모드로 실행됩니다.
6) 안전 모드 실행 후 오류를 수정했으면 다시 1) 번으로 돌아가 msconfig의 안전 부팅 모드를 해제해주어야 합니다.
3. 스크린 모드에서 안전모드로 부팅하기
1) 스크린 모드로 들어가세요. 시작 메뉴 버튼에서 내 계정을 클릭하면 로그아웃 버튼이 나옵니다. 여기로 스크린 모드로 들어갈 수 있어요.
2) 스크린 모드에서 SHIFT key를 누른 채 다시 시작을 눌러주세요.
3) 재부팅되면서 아래처럼 파란 화면이 나올 거예요. 여기서 문제 해결에 들어가 주세요.
4) 고급 옵션을 클릭해 주세요.
5) 고급 옵션에서 시작 설정에 들어갑니다.
6) 이제 시작 설정 화면에서 다시 시작 버튼을 눌러주세요.
7) 이제 다시 컴퓨터가 부팅되면서 안전 모드 부팅 옵션이 자동적으로 나올 것입니다. 여기서 인터넷이 안 되는 일반 안전 모드나 인터넷이 되는 안전 모드(네트워킹 사용)를 선택해서 부팅시켜주시면 됩니다.
이상 안전모드로 들어가는 방법 세 가지를 알아봤습니다. 도움이 되셨나요? 전 조금 불편하긴 하지만 세 번째 방법이 제일 쉽게 안전모드로 들어갈 수 있었던 거 같습니다.
여러분들도 컴퓨터 상황에 맞추어 안전 모드 실행 방법을 실행해 보시기 바랍니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드라이브에 저장되어 있는 내 파일 링크로 공유하기 (0) | 2022.04.01 |
---|---|
Google(구글) 계정의 메일 사진포함 모든 자료 다운받기 (1) | 2022.03.31 |
티스토리 첫시작 2편 - 구글에서 내 포스팅 글이 검색이 안돼요 (0) | 2022.03.28 |
사진편집어플로 내 인생샷을 살려보자, 포토샵은 안녕~ (1) | 2022.03.27 |
컴퓨터 특수문자 이모지 이모티콘 입력하기 (0) | 2022.03.26 |
댓글